안녕하세요. 평범한 30대 직장인이 보는 뉴스BIL(Belief In Life)입니다.

 

식당이나 공공장소에서 자녀가 울때, Youtube를 보여주는 부모님들을 주위에서 흔히 볼수 있습니다.

Youtube의 장,단점 및 youtube에 익숙한 아이들의 미래는 어떠한지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Youtube의 긍정적인 점

- 식당이나 공공장소에서 아이가 시끄럽게 울때 Youtube를 시청하게 되어, 자녀들을 조용하게 할 수 있다.

→자녀가 조용하게 되면 부모님들은 안도의 한숨을 쉴 것입니다. 하지만 이건 순간일뿐 장기적으로 보면 자녀가 Youtube와 같은 동영상에 중독되는 길입니다. Youtube의 동영상에 익숙해지면, 반대격인 책과는 멀어질 확률이 큽니다. 이런 이유로, 책을 멀리하면 책읽기의 사색하는 능력은 키우기가 힘들어 질 것입니다.

 

 

Youtube의 부정적인 점

- 동영상으로 인한 자극적인 것에만 반응하는 '팝콘브레인'이 될 수 있음

   (※ 팝콘 브레인 : 뇌가 튀긴 팝콘처럼 곧바로 튀어 오르는 것에 반응할 뿐 느리게 변하는 현실에 무감각해지는 것)

 

- 동영상을 오래 시청하게 되어 거북목, 안구 건조등 등 VDT(VIsual Display Terminal)이 발생

 

 

□ 이런 아동들이 커가면.. 미래는..?

- 넥플렉스나 구글같은 동영상 스트리밍 업체는 더욱 더 호황을 맞이 할 것입니다. 이런 거대기업들에게는 아이들이 Youtube를 일찍 시작하면 할수록 좋습니다. 그 이유는 어릴때부터 동영상에 익숙해지면, 동영상 보는 것을 당연시 하게 되어 현재 우리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듯이 매일 동영상을 시청할 것입니다.

 

- 동영상 업체가 호황하게 되면, 책관련 업체는 힘든 시기를 겪을 것을 생각됩니다. (설상가상으로 미래에는 교재 또한 책보다는 디스플레이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학교의 역할이 축소될 것입니. 우리에게 학교는 다른 곳에서 배우지 못하는 예절, 지식등을 습득하는 곳이였습니다. 하지만 동영상에 모든 것이 있고 익숙하게 된다면? 점점 더 많은 학생들이 학교에 가기 보다는 홈스쿨로 지식을 습득할 가능성이 높아 질 것으로 생각 됩니다.

 

- 학교는 아동들에게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을 만남으로써 예절 및 사교성을 길러준다. 그러나 사교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타인이 있어야 하는데, 집에서 혼자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기에 사교성을 기르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현상이 가속화되면, 본인밖에 모르는 이기주의 등이 심화 될 것으로 생각된다.

 

 

□ 만약 내 아이라면..

만약 나의 자녀가 식당이나 공공장소에서 울고 떼를 쓰면 어떻게 할까? 정말 난감하다. 아이가 집중할 수 있는 무언가를 주어야 하는 것은 저도 동의합니다. 동영상으로 인한 폐해를 막기 위하여, 동영상을 대체할 수 있는 건 없으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책읽는 습관이 한가지 방법이 될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집에서 책 읽는 습관이 들면, 밖에 나가서 책만 주면 조용히 책만 읽고 있을 것이다. 그러면 조용히 읽으면서, 지식을 습득하는 일거양득할수있다.

 

 

정말 중요한 건 책읽는 습관은 아동이 혼자 만들수는 없습니다. 부모님들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부모님은 아이들의 거울과 같이, 아이들은 집에서 부모님의 평소 행동을 따라합니다.

 

부모님들부터 아이 앞에서 책을 읽음으로써, 습관을 만들어 주는건 어떨까요?

안녕하세요. 평범한 30대 직장인이 보는 뉴스BIL(Belief In Life)입니다.

 

주변을 살펴보면 어린아이부터 시작하여 노년층까지 동영상 시청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가오는 동영상 시대에 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글에서 동영상의 시대로 전환

저도 그렇지만, 점점 Youtube의 시청시간이 길어졌습니다. 그 이유는 양질의 정보가 많이 등록되는 것도 있고, 이해하는데 더 쉽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미래의 소비 주역은 'Z세대'입니다. Z세대는 태어날때부터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10~20대를 말합니다. 약 10년후 주요 소비층이 되는 Z세대가 가장 선호하는 것은 바로 글이 아닌 동영상입니다. 이런 시대를 대변하듯이, 최근 대형 광고회사가 TV광고 및 신문광고 금액을 줄이고 Youtube 광고금액(온라인 광고)을 증액시킨 뉴스가 있었습니다.

→ 동영상 제작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 그럼에도 왜 저는 블로그를 하고 있을까?

저는 현재 재테크를 위해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투자를 하기에 시장흐름 등을 파악해야 하는데 블로그를 함으로써 뉴스를 읽고, 그 뉴스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는데 블로그가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직까지 생각을 정리하는 것은 블로그와 같이 글을 쓰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 같습니다.

 

 

□ 그렇다면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많은 분들이 그냥 아무 영상이나 찍어서 Youtube를 시작하라고 합니다. 지만 개인적으로 아무런 타켓팅과 컨셉 등이 없이 마구잡이로 하다가는 연속적으로 지속하기 힘들고 만약 블로그를 하고 있었으면 블로그 마저 지속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제가 그렇습니다.)

Youtube! 분명히 좋은 플랫폼이고 많은 기회가 있어 당장 시작하여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하지만 어정쩡한 영상으로 마구잡이로 하기보다는 타켓팅과 컨셉을 잡고 가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갑자기 번쩍이는 아이템이 떠 올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