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범한 30대 직장인이 보는 뉴스BIL(Belief In Life)입니다.

어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1.50%로 동결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기준금리 동결로 인하여 어떤 영향이 있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 상황

서울 아파트값 / 물가 상승으로 인하여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정부가 의지를 표명하였지만, 한국은행은 성장률 전망치 하향조정과 경기에 대한 부담으로 동결을 하였습니다.

금리인상 시, 자금이 은행으로 모이게 되어 기업투자 금액은 줄어들어 성장률이 더욱더 하향될 것이고, 가계부채의 이자가 증가하여 서민들의 경제게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어 이런 결정이 이루어 진것 같습니다.

 

 

□ 영향

 - 한미 금리 역전폭이 커져, 자금이탈은 불가피

미국쪽의 금리가 높아져 차이가 커질수록, 달러의 가치는 상승하는데 반해 원화의 가치는 하락합니다. 이때 원화를 들고 있으면, 달러로 환전할때 손해를 보기 때문에 외국인 자본의 이탈은 불가피합니다.

 

 

□ 예상

한국은행은 금리 인상여부를 두고, '성장률'과 '가계부채'의 영향이 컸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부동상 가격 폭등 / 주가 대폭락 / 물가 상승 등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많은 시그널을 보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 인상하여, '성장률'과 '가계부채'로 인하여 기업 및 중간층이 무너지면 말그대로 국가는 무너집니다. 그러기 때문에, 기업이 살아나고 가계의 부채가 줄어들지 않는 이상 금리 인상은 힘들 것으로 생각됩니다.

 

만약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시면, 관망하시는게 좋을 것입니다. 너무 떨어진다고 낙심하지 마시고, 이번 기회에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방법을 공부하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평범한 30대 직장인이 보는 뉴스BIL(Belief In Life)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차주 증시(2018.10.15 ~ 2018.10.19)를 가늠할 수 있는 대내외 경제지표와 일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 대내외 경제지표와 일정

 

일자 

 2018.10.15(월)

2018.10.16(화) 

2018.10.17(수)

2018.10.18(목)

2018.10.19(금)

경제지표

미국 9월 소매판매

중국 소비자물가지수

유럽 소비자물가지수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중국3분기 국내총생산

 - 미국 기업의 올해 3분기 실적발표

 - 미국 재무부 환율보고서 발표

 

1 미국 기업의 올해 3분기 실적 발표

→ 최근 미국 기술주 우려에 의하여, 미국증시가 하락을 하였습니다. 이번 실적발표에 따라, 증시의 방향이 결정 될 예정입니다.

 

2. 미국 재무부 환율보고서 발표

이번 보고서에서 눈여겨 볼 점은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여부입니다. 아직까지는 가능성이 작다는 관측이 우세하지만, 혹여라도 지정이 될 경우 중국에게는 '미국기업 투자 시 금융지원 금지', '미 연방정보 조달시장 진입금지', '국제통화기금(IMF)을 통한 환율 압박', '무역협정과 연계' 등의 제재가 따릅니다 이로 인하여, 중국경제는 수출에 타격이 있게 되고, 중국과 밀접한 경제관계를 맺고 있는 한국증시의 영향 또한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3. 각 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

→ 중국/유럽/미국 등의 소비자물가지수는 변동폭을 확인해야 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를 확인함으로써, 국민들의 소비/구매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기업의 원활한 경제활동등을 앎으로써 한 국가의 전반적인 경제상황을 알 수 있습니다.

 

* 소비자 물가 지수란?

소비자물가지수는 도시 가계의 평균적인 생계비 내지는 구매력의 변동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 10% 상승하면, 종전의 소득으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 및 서비스의 수량이 10% 감소

봉급생활자가 종전의 소비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지출해야 하는 생계비가 10% 더 필요함을 의미한다. 만약 일정하다면, 그 만큼 소비수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생각할수 있습니다.

 

참고로 국내 소비자물가지수입니다. 안타깝게도 소비자물가지수는 17.12월부터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4.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18일 금리 인상여부가 결정됩니다. 한국은행의 존재목표는 '물가 안정'에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국내경제상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여, 미국금리와 역전금리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동결시켰습니다. 하지만 위의 국내 소비자물가지수에서도 상승하고 있듯이, 한명의 국민으로써 물가의 상승을 피부로 느껴지고 있습니다. 실제 가정을 꾸리지 않는 30대 직장인이 이 정도 느끼는데, 가정을 꾸리시는 분들은 얼마나 더욱 더 느낄까요. 또한 역전금리의 격차가 커질수록 국재자본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일례로, 최근 코스피/코스닥은 대 폭락을 겪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번에는 금리가 인상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봅니다.

 

 

이번주는 증시에 영향을 주는 여러 대내외적 경제지표가 발표 될 예정입니다. 경제지표를 잘 분석하셔서, 성공적인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