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범한 30대 직장인이 보는 뉴스 BIL(Belief In Life)입니다.

18일, 전국 택시기사들은 광화문광장에 모여 카풀 영업행위를 금지해 달라며 대규모 집회를 열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택시파업에 대하여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 '택시 파업'의 이유

 - 카풀 서비스로 인하여, 택시업계 종사자들의 수익이 감소하여 생존권을 위협한다고 생각하여 파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 개인적으로..

이번 현상은 과거 '러다이트 운동'과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러다이트 운동;은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걸쳐 영국의 공장지대에서 일어난 노동자에 의한 기계파괴 운동을 말합니다.

산업혁명에 의한 기계발달로 인하여, 수공업자들이 몰락을 하게 되어 발생한 운동입니다. 이번 파업 또한 마찬가지로, 공유경제 발달로 인한 카풀서비스 도입으로 인하여, 택시업계 종사자들이 몰락할 것을 두려워 파업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택시업계 종사자 입장에서는 수익감소로 인한 생존권 위협으로 파업하는 것이 이해하기는 하나, 서비스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이 느끼는 서비스 질의 향상 여부입니다.

만약 서비스질의 향상 없이, 기득권을 빼앗는다면 파업의 정당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지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서 파업을 한다면, 과연 정당성이 있을까요?

단적으로 심야시간대는 택시수가 부족함에도 부족하고, 장거리가 아니면 승차거부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국민들의 질타를 받았습니다.

그래서 정부는 카풀서비스 등을 도입함으로써 적은 차량수로 최대한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 취지입니다.

또한 세계는 카풀서비스로 인하여, 차량수를 줄임으로써 중국의 스모그 현상과 같은 환경문제 / 대도시 인구 믿도 증가로 인한 주차 문제 등을 풀어 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택시업계는 이번의 대전환을 통해, 카풀 서비스에는 없는 택시만의 고유서비스를 개발하여 고객을 확보 해야합니다.

지금 하는 파업은 역사를 비춰봤을때, 한 순간일뿐이고 국민들의 지지를 받을수가 없습니다.

(단적으로, 택시가 파업하면 고객들은 잠깐 불편할 뿐 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됩니다.)

 

다시한번 언급하지만, 무엇보다 서비스분야에서는 고객을 우선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고객의 질이 더 좋아진다고 하면, 그 쪽으로 방향을 바꿔서 어떻게 기득권을 챙길수 있을지 생각해야 합니다.

그저 자신들의 생존권을 뺏긴다고 파업을 하기 보다는 그 힘과 열정으로 고유서비스 개발을 해야할 때입니다.

 

 

기득권을 지키기 위하여 파업을 한다고 지지하는 국민은 많지 않습니다. 지금까지의 기득권을 버리고, 새롭게 태어나길 기대합니다.

 

 

안녕하세요. 평범한 30대 직장인이 보는 뉴스BIL(Belief In Life)입니다.

어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1.50%로 동결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기준금리 동결로 인하여 어떤 영향이 있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 상황

서울 아파트값 / 물가 상승으로 인하여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정부가 의지를 표명하였지만, 한국은행은 성장률 전망치 하향조정과 경기에 대한 부담으로 동결을 하였습니다.

금리인상 시, 자금이 은행으로 모이게 되어 기업투자 금액은 줄어들어 성장률이 더욱더 하향될 것이고, 가계부채의 이자가 증가하여 서민들의 경제게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어 이런 결정이 이루어 진것 같습니다.

 

 

□ 영향

 - 한미 금리 역전폭이 커져, 자금이탈은 불가피

미국쪽의 금리가 높아져 차이가 커질수록, 달러의 가치는 상승하는데 반해 원화의 가치는 하락합니다. 이때 원화를 들고 있으면, 달러로 환전할때 손해를 보기 때문에 외국인 자본의 이탈은 불가피합니다.

 

 

□ 예상

한국은행은 금리 인상여부를 두고, '성장률'과 '가계부채'의 영향이 컸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부동상 가격 폭등 / 주가 대폭락 / 물가 상승 등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많은 시그널을 보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 인상하여, '성장률'과 '가계부채'로 인하여 기업 및 중간층이 무너지면 말그대로 국가는 무너집니다. 그러기 때문에, 기업이 살아나고 가계의 부채가 줄어들지 않는 이상 금리 인상은 힘들 것으로 생각됩니다.

 

만약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시면, 관망하시는게 좋을 것입니다. 너무 떨어진다고 낙심하지 마시고, 이번 기회에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방법을 공부하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평범한 30대 직장인이 보는 뉴스BIL(Belief In Life)입니다.

취업시즌을 맞이하여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출신 지역이나 학교, 신체 조건 등을 묻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블라인드 채용' 도입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 현재 상황

17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한 기업들이 다음과 같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 일부 직무에서 블라인드 채용 도입 : 롯데백화점, CJ ENM, 두산중공업, KT, 종근당, 한샘 등

- 일부 신입사원을 블라인드 채용 도입 : SK그룹 일부 계열사 및 현대백화점

- 모든 신입사원을 블라인드 채용 도입 : 동아쏘시오홀딩스그룹 일부 계열사 및 애경산업

 

□ 개인적으로..

기업 또는 기업의 실무자로써 블라인드 채용과 같이 '스펙'에서 벗어난 채용방식을 개인적으로는 지지합니다.

개인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비리 척결

 - 취입이 힘들다 보니, '임원의 딸', '시장의 딸' 등 지위를 이용해서 낙하산 취업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이슈화 되어 국민들의 질타를 받았습니다. 대부분의 낙하산 취업으로 들어온 사람은 크게 도움이 되지 않고, 기업은 국민들의 질타를 받습니다. 그래서 기업은 그런 질타를 없애고자 블라인드 채용과 같은 투명한 취업을 도입함으로써 이미지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기업 생존을 위한 인재상 변화

 - 고3 수능보기 전까지 코피터지면서 공부해서 명문대를 입학만 학생들은 억울 할 수 있습니다. 본인은 청춘을 다 바쳐서 공부만 해서 명문대 입학했는데, 공부를 덜한 친구와 같은 선상에서 취업을 시작하는 것을 '역차별'이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물론 그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4차 산업을 대비해서, 기업에서는 '잘 외우는 직원'보다는 '잘 적응하고 창조적인 직원'이 필요합니다.

명문대 학생들이 '덜 창조적이다.' 이런 말은 절대 아닙니다. 창조적인 생각은 다양한 문화가 결합되었을 때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단지 명문대 학생들만 뽑을 경우, 대부분 성장 배경이 비슷하여 창조적인 생각이 덜 나오기 일쑤입니다. 세상에는 다양한 사람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업입장에서는 그런 곳곳의 인재들을 뽑아 창조적인 문화로 바꿀려고 하기 때문에 블라인드 채용을 하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도 기업의 한 실무자로써 취업을 하면 대학교의 구분은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어떤 일을 지시하였을 때, 핵심을 잘 파악해서 잘 수행하는지 또는 어떤 실수를 하였을때 빠르게 인정하고 다음에는 실수하지 않도록 준비하는 등이 잘 외우는 것보다 더욱더 중요합니다. 요즘에는 IT가 발달해서, 많은 걸 외울 필요가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IT발달로 잘 외우는 사람이 크게 필요하지 않고, 이것을 어떻게 활용하고 창의적으로 풀어내는 인재가 필요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블라인드 채용은 기업의 생존을 위해서라도 더욱더 확대 될 것 같습니다.

 

 

명문대 입학한 학생들의 고3시절 공부한 것을 비하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시대가 잘 외우는 인재에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많은 걸 경험하고 그것을 통해서 창의적인 것을 생각하는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